Versions Compared

Key

  • This line was added.
  • This line was removed.
  • Formatting was changed.

저는 수도권에서 IT일을 하다가 2019년 초에 초등학교 들어가는 쌍둥이딸과 함께 남원시 운봉읍 행정마을로 이사온 사람입니다.
20102020.2.9(일) 에는 산내 학부모모임에서 하는 "더나은 마을교육을 상상하자 - 완주 고산면 마을교육공동체 사례" 를 들으러 갔습니다. 간단한 소감을 적어봅니다. 2019년도 봄에 남원 자연드림 2층에서 숟가락 공동체 초대해서 이야기를 들을 때 참가를 했었는데 여기도 같은 동네였네요.

...

1시간 정도는 완주 고산면 마을교육공동체 사례를 들었습니다. 해당 지역에서 어떻게 이런 고민이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전을 해 왔는지 설명을 들었습니다.
초등학교들이 폐교가 되려고 하자 학부모들이 나서서 학교를 살립니다. 학교를 살리면서 마을이 살고 마을이 살면서 젊은 사람들이 더 모여듭니다. 그러면서 중학교도 살아나고 2017년도 고산고도 공립형 대안학교로 전환를 합니다.
마을에서 협동조합이 방과후학교를 운영합니다. 강사들이 초반에는 외부에서 왔다가 점차 지역 강사로 바뀝니다.

재밌거나 기억나는 것

교산군에서 고산군에서 교육공동체 등에 지원을 할 때는 꼬리표가 없다고 합니다. 해당 단체를 믿고 맡기는 것이지요. 그리고 매년 꾸준히 지자체 차원에서 알아서 지원을 한다는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마을의 속도와 행정의 속도는 다르다. 무엇이든 공적인 차원에서 운영하면 좋겠지만 그럴 경우 마을의 상황을 모른 채 일이 추진될 수도 있고 형식적으로 관료적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 예전에는 민간조직들이 했던 역할을 지자체에서 받아서 중간지원조직에서 하는 경우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는 오히려 없어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민관의 관계는 쉽지 않네요. 공적으로 진행을 하면서도 자발성을 키우는 방법...
마을이 교육의 주체가 되는것. 서포터가 아니라 이런 중간지원조직의 파트너가 함께 되어야 한다. 이 부분을 많이 강조하였네요.

...